반응형
2025년 7월은 엘니뇨 → 중립 전환 국면에서 북태평양고기압이 평년보다 북상·강화되고 있다.
이에 따라 서태평양 해수면 온도(SST) 가 높아져 태풍 발생 잠재력이 커지는 반면,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북·동쪽으로 휘어지는 경향도 두드러질 전망이다.
1. 이미 발생한 태풍 현황
번호 | 태풍명 | 발생일 | 진로·특징 | 한반도 영향 |
---|---|---|---|---|
3호 | 문(MUN) | 6 월 30 일 | 베트남 상륙 후 열대저압부 소멸 | 간접 영향 無 |
4호 | 다나스(DANAS) | 7 월 4 일 | 南중국해→대만 서해안→中 저장성 재상륙 예상 | 수증기 간접 유입·남부 해상 너울 가능 |
7 월 8 일 기준 다나스는 중심기압 990 hPa, 최대풍속 24 m s⁻¹(중형)으로 분류됨
2. 7월 중·하순 태풍 발생 잠재력
구간 | CPC·ECMWF 합산 발달 확률* | 예상 포인트 | 해설 |
---|---|---|---|
7/10 – 7/16 | ★★★☆☆ (30 %↑) | 필리핀 동쪽 해상 | 대류활동 활발, 저층 사이클론 회전 예상 |
7/17 – 7/23 | ★★★★☆ (40 %↑) | 괌 남동쪽 | MJO(열대대기 진동) 상승국면, SST 30 ℃ |
7/24 – 7/31 | ★★★☆☆ (30 %↑) | 마리아나~일본 남쪽 | 북태평양고기압 외곽, 북동 전환 경로 |
* NOAA CPC Global Tropical Hazards Outlook + ECMWF 46일 연장 예측 기반
3. 한반도 영향 가능 시나리오
경로 유형 | 발생 확률 | 요약 |
---|---|---|
① 상해 → 서해 진입 (중국 내륙 경유) | 25 % | 서해 저기압·폭우·남부 폭풍해일 |
② 일본 남해안 경유 후 동해 관통 | 20 % | 동해안 너울·강풍, 내륙 폭염 완화 |
③ 오키나와 동쪽→일본 열도 북상 | 35 % | 간접 영향만, 장마 전선 재활성화 |
④ 필리핀 해상 소멸 (북태평양고기압 벽) | 20 % | 한반도 영향 無, 폭염 장기화 |
기상청 3 개월 전망은 “올여름 한반도 영향 태풍 수가 평년(3–4개)과 비슷하거나 조금 적을 것”으로 제시했다
4. 관측·모델 근거 요약
- 해수면 온도(SST): 서태평양 29–30 ℃ 유지 → 태풍 에너지 충분
- MJO: 7월 둘째 주 이후 상승 국면 진입 → 대류 활성화
- 북태평양고기압: 7월 하순 한반도까지 확장 전망 → 경로 북동 전향 가능성↑
- ENSO: 6월 말 중립 전환, 라니냐 가능성 낮음 → 태풍 수는 평년 수준 예상
5. 대비 체크리스트
구분 | 핵심 조치 |
---|---|
시설물 | 창문·간판·배수구 사전 점검, 풍수해보험 검토 |
가정 | 비상식량(3일), 손전등·보조배터리, 상비약 |
차량 | 주차 위치 고지대 확보, 침수 알람 앱 설치 |
현장 근로 | 풍속 25 m s⁻¹ 이상 시 작업 중단, 안전모·로프 준비 |
정보 확인 | 기상청 태풍정보·JTWC·CPC Outlook 주기적 확인 |
6. 결론
- 7월 상순: 4호 ‘다나스’가 중국 해안 재상륙 예정, 한반도 직접 영향은 낮음
- 7월 중·하순: 서태평양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1–2개 열대저압부 추가 발생 유력
- 경로 결정 변수: 북태평양고기압 위치·강도, 동풍장 고도풍
- 폭염·열대야 지속과 태풍·장마 재활성화가 동시에 공존할 가능성 높음
최신 태풍 정보는 하루 2회 업데이트되는 기상청 태풍정보와 CPC·JTWC 예보를 확인하며,
재난 문자·안전디딤돌 앱 알림을 놓치지 않는 것이 안전을 지키는 지름길이다.
📌 SEO 태그 제안
#2025태풍전망 #7월태풍 #서태평양태풍 #북태평양고기압 #다나스경로 #JTWC #기상청태풍 #태풍대비 #여름날씨전망 #폭염태풍관계
반응형